< 임상시험 관련 용어 정리 >

 

Adverse Drug Reaction (ADR) : 약물 유해반응

- 의약품등을 정상적으로 투여, 사용한 때에 발생한 해롭고 의도하지 아니한 반응으로 해당 의약품등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수 없는경우

 

Adverse Effect, Aeverse Event (AE): 유해사례

- 의약품등을 투여 사용중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아니한 징후, 증상 또는 질병

 

Alternative Hypothesis : 대립가설

- 연구자가 증명 하고자 하는 연구 가설로서 '두 치료법에서의 효과의 차이가 있다' 와 같이 기술 하는 가설

 

Applicable Regulatory Requirement : 관련 규정

- 임상시험의 실시에 관련된 약사법령 및 관련 규정, 고시 등

 

Approval : 승인

- IRB 또는 MFDS에서 GCP 및 관련 규정의 요구사항에 따라 임상시험 계획서및 관련 문서를 검토한 후에 임상시험을 실시해도 좋다는 긍정적인 결론을 내리는것 .

 

Audit, Auditing : 점검

- 해당 임상시험에서 수집된 자료의 신뢰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임상시험이 계획서, 의뢰자의 표준작업지침서, 임상시험 관리기준, 관련규정 등에 따라 수행되고 있는지를 의뢰자 등이 체계적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조사

 

Bioavailability: 생물학적 이용가능성

- 약물이 흡수 되거나, 인체의 작용부의에서 활용될수 있는 범위

 

Bioequivalence: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 동일 유효성분을 함유한 동일 투여 경로의 두 제제가 생체 이용률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실시하는 생체내 시험

 

Blind Method: 눈가림법

- 시험에 관여하는 사람 또는 부서가 배정된 치료법에 대하여 알지 못하도록 하는 절차

 

Bridging Study: 가교시험

- 외국 임상자료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임상 시험

 

Case Report Form (CRF) : 증례기록서

- 개개 대상자 별로 계획서에서 규정한 정보를 기록하여 의뢰자에게 전달 될수 있도록 고안한 인쇄 되거나 전자 문서화 된 서식

 

Carry-Over Effect : 이월 효과

- 치료가 중단된 후에도 치료효과가 일정 기간 지속 되는것

 

Clinical data:  임상자료

- 대상자의 의학적 안녕 또는 상태를 포함자는 자료

 

Clinical Trial Report : 임상시험 결과 보고서

-임상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임상적, 통게적 측면에서 하나의 문서로 통합 기술한것

 

Clinical Trial : 임상시험

-인체를 직접 대상으로 하여 약무롸 같은 특정 방법의 치료 또는 예방 효능을 평가하는 실험적 연구

 

Clinical Pharmacology : 임상약리학

-약물이 인간에게 미치는 약리학적 특성, 효과, 반응, 활용방안 등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독성, 안전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포함함.

 

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 : 임상시험 모니터 요원

- 의뢰자 또는 CRO에서 고용한 사람으로 의뢰자를 대신하여 연구자 측의 임상시험 진행사항을 모니터링 하는 사람

 

Clinical Research Coodinator (CRC) :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연구간호사

- 기관에서 임상시험과 관련된 대부분의 행정적 책임을 담당하는 사람으로 시험자 측과 의뢰자 측을 연결하고, 모니터의 방문에 앞서 자료를 검토하는 사람

 

Clinical Trial Data: 임상시험 자료

-임상시험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

 

Clinicla Trial Pharmacist : 관리약사

- 시험기관에서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인수, 보관, 조제, 관리 및 반납에 대한 책임을 갖는 약사로써 시험기관의 장이 지정한 사람

 

Comparator : 대조약

-시험약과 대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약 또는 개발중이거나 시판중인 의약품

 

Completion : 종료

- 대상자가 계획서에 제시된 바에 따라 모든 과정이 수행 되었기 때문에 임상시험 참여를 중단하는것 (대상자 종료), 또는 계획서에 필요한 모든 활동이 완료 되어 임상시험이 중단 되는것 (임상시험 종료)

 

Compliance : 임상시험의 준수

- 계획서, 임상시험 관리 기준 및 기타 ㄱ정에 따라 임상시험을 실시 하는것

 

Confidentiality : 비밀 보장

- 자료의 직저 열람이 허용된 자를 제외하고는 대상자의 신원 또는 의뢰자의 지적 재산등에 관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도록 하는것

 

Confimatory Trial: 확증적 임상시험

- 이전에 확인된 치료적 중재의 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3상 임상 시험

 

Contract : 임상시험 계약서

- 임상시험에 관려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당사자간에 이루어지는 서면 합의서로써 업무의 위임 및 분담, 의무사항 , 필요한 경우 재정에 관련된 사항 등ㅇ이 자세히 기록되고 날짜 및 서명이 기재된 문서

 

Control Group : 대조군

- 시험군- 대조군 연구에서 피료를 받지 않거나 표준 치료를 받거나 위약 치료를 받는 군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 : 임상시험 수탁기관

- 임상시험과 관련된 외뢰자의 임무나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행하기 위하여 의뢰자로 부터 계약에 의해 위임받은 개인이나 기관

 

Cohort Study : 코호트 연구

- 동일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

 

Coordinating Center : 협연센터

- 두개 이상의 의료기관이 공통되는 연구 계획에 의하여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임상시험 연구의 연구 수행의 전 과정을 통제할수 있는 독립적인 기구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Medical Sciences : 국제 의학 기구 협회 

 

Cross Over Design: 교차 설계

- 각 연구 대상 환자가 자신의 대조군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연구 설계

 

Clinial Trial Notification (CTN): 오스트레일리아의 신약 개발 규제 법규

- 임상시험 관련 자료를 임상시험 실시기관의 임상시험윤리 위원회 (IRB)에 제출 하면 8주간의 심사를 거쳐 승인 여부 결정

 

Data Entry: 자료 입력

-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구조화 되고 전산화된 양식에 자료를 넣는것

 

Data Integrity : 자료의 통합성

- 자료를 얻고 수정하고, 유지하고, 전달하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자료의 속성 ( 합법성, 동시성, 최초성, 정확성)

 

Declaration Of Helsinki: 헬싱키 선언

-1964년 세계 의사회에 의해 제정된 의학연구의 전문 지침으로써 인체 대상 연구의 가장 대표적인 윤리기준. 헬싱키 선언은 의학연구자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할 국제적인 의학 연구 윤리의 기준으로, 내용은 뉘렌베르크 강령의 원칙에 1) 임상연구과 비 임상 연구의 구별, 2) 대리인 동의, 3) 원칙 준수를 위한 제도적 절차 가 추가 됨.

 

Direct Access :  임상시험 관련자료 직접 열람

- 임상시험 수행 상태 및 결과 평가에 중요한 기록이나 문서를 조사, 분석, 평가, 재구성 하도록 하용하는 것을 말하며, 임상시험 관련 자료의 직접 열람을 하는 개인 또는 기관 등은 대상자의 신원이나 의뢰자 관련 정보에 대해 비밀 보장의 의무를 갖는다.

 

Discontinuation : 중단

-대상자가 계획서에 필요한 사항이 완료되기 전에 임상시험 참여를 종료하는것

 

Documentation : 문서

-임상시험 방법, 수행, 결과, 임상시험 관련 요소, 조치 등을 기술하는 모든 종료의 기록

 

Double- Dummy : 이중위약

 

Drug Committee : 세계 보건 기구의 의약품 위원회

 

Drug Dvelopment Process : 신약 개발 과정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발굴, 전임상시험, 임상시험 빛 규정 당구그이 검토를 거쳐 시판 승인을 이르기 까지의 전과정

 

Duration of Disease Free Survival: 무질병 생존기간

- 대상자가 시험에 등록된 시점으로 부터 사망할때까지의 기간

 

Effectiveness: 효과

-계획된 용량의 70% 이상 복용을 지켰을때 나타나는 반응

 

Efficasy: 유용성 (효용)

-계획된 대로 약을 순수하게, 완벽하게 복용했을때 나타나는 반응

 

Electronic Clinical Trial (eCT) : 전자 문서 임상 시험

 

Electronic Data Capture (EDC): 전자 자료 기록

-임상시험 자료를 수집해 영구적인 전산양식으로 전환하는 과정

 

Enrollment: 등록

-한명 이상의 대상자를 등록하는 행위

 

Equivalence Trial : 동등성 평가시험

-시험약의 유효성이 대조치료약과 동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평가 시험

 

Essential Document: 임상시험 기본문서

-임상시험의 수행과 그로부터 얻어진 자료의 질에 대하여 개별적 또는 전체적 평가가 가능하도록 해 주는 문서

 

Exploratory Trial : 탐색적 임상시험

-치료적 중재의 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 또는 2상

 

Exclusion Criteria : 제외 기준

-임상시험에서 특정 환자를 시험에서 제외 시키는 기준

 

Expedited Review : 신속심의

-임상시험의 심사와 관련하여 정해진 회의 일정에도 불구하고 임상시험 심사위원회가 신속하게 심의 하는것

 

External Auditor : 외부 점검자

-자료가 직접 생성되는 부서, 즉 임상시험 수행부서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전문 점검자.

 

'세상과의 소통 > Clinical T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시험 -이상반응-  (0) 2014.10.16
임상시험 -임상시험 분류-  (0) 2014.09.17
임상시험 -개념정리-  (0) 2014.09.12
임상시험 -개념정리-  (0) 2014.09.12
by 쵸냥씌 2014. 9. 14. 22:11